한국 사람들이 흔히 하는 말 중 하나로 방송은 ‘다 짜고 치는 고스톱’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특히 예능 프로그램을 보며 그런 말을 많이 합니다. 이때 말하는 ‘짜고 친다는’ 것이 가리키는 것이 바로 스크립트 혹은 대본입니다.
뉴스, 예능 같은 방송부터 팟캐스트 오디오와 블로그 문서까지 기본 스크립트가 없으면 안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스크립트의 장르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알아 보고, 스크립트 만들기에 도움이 되는 각종 프로그램과 대본 작성부터 영상 편집까지 한 번에 끝낼 수 있는 프로그램을 추천해 드리겠습니다.
5분 안에 이런 내용을 알려 드려요!
Part 1. 장르별 스크립트 특징은?!
스크립트는 모든 영상, 오디오 또는 텍스트 작품의 기본 바탕이 되는 ‘뼈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뼈대’에 살을 붙여 완성품인 예능 프로그램, 팟캐스트 또는 소설이 탄생합니다. (참고로 소설에서는 시놉시스라는 표현을 쓰기도 합니다.)
출처: ©원더쉐어 필모라
스크립트는 완성품의 장르 - 비디오 / 오디오 / 텍스트 - 에 따라 조금씩 특징이 다릅니다. 아래 표에 간략히 차이점을 정리하였습니다.
장르 | 활용 분야 | 특징 |
영상 콘텐츠 | 영화, 드라마, 뉴스 등등 | - 장면(씬)별 구성, V.O, F.I/F.O, C.U 등의 특수 효과 표기- 생각이나 감정은 (괄호)로 표기 |
오디오 콘텐츠 | 팟캐스트, 오디오북 등등 | - 목소리 톤, 지문 읽기 시간 등을 명확히 표기- 분/초 단위로 시간 분배 |
텍스트 콘텐츠 | 블로그, 웹툰/웹소설 등등 | - 기/승/전/결 또는 서론/본문/결론을 명확하게 구분 |
자기 콘텐츠를 위한 스크립트 만들기에 도전하실 분이라면 장르별 특징을 미리 알아두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Part 2. 스크립트 만들기 도구 및 템플릿 추천!
파트 2에서는 본격적인 대본 작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몇 가지 도구들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추천 1. AI 스크립트 만들기 도구
AI 대본 작성 도구는 주요 키워드나 캐릭터, 문장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대화형 대본이나 블로그 글 등을 작성해 주는 프로그램입니다. 인기 있는 온라인 서비스로는 재스퍼 AI, Celtx(셀텍스) 등이 있으며, 조금 더 전문적인 스크립트를 작성하려면 유료 버전 구독이 필요합니다.
출처: ©재스퍼 AI
추천 2. 스크립트 템플릿
스크립트 템플릿은 대본의 기본 구조(서론/본문/결론)와 주요 항목(키 포인트 및 요약) 등을 미리 프레젠테이션 슬라이드나 문서 형태로 정리해 둔 것입니다. 대본 템플릿을 제공하는 주요 서비스로 캔바(Canva), 클릭업(ClickUp) 등이 있습니다.
출처: ©캔바
추천 3. 무료 스톡 영상/이미지
영상 스크립트 작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또다른 서비스는 무료 스톡 영상 및 이미지 제공 사이트입니다. 셔터 스톡(ShutterStock) 같은 서비스를 이용해 스크립트를 조금 더 풍부하게 꾸밀 수 있고, 다른 사람과 커뮤니케이션 하기도 쉬워집니다.
출처: ©셔터 스톡
Part 3. 대본 작성부터 영상 작업까지 한 번에 끝내기!
마지막으로 파트 3에서는 요즘 크리에이터와 인플루언서들이 가장 사랑하는 원더쉐어 필모라로 직접 대본 만들기부터 영상 제작까지 해 보겠습니다. 필모라의 최신 AI 기능을 활용하면 초보자도 쉽게 할 수 있으므로 단계별로 따라해 보시길 바랍니다.
1단계 AI 스크립트 만들기
필모라의 최신 AI 기능은 영상 생성뿐만 아니라 영화 스크립트를 작성하는 데도 쓸 수 있습니다. 1단계로 메인 화면의 도구 상자 -> AI 아이디어를 동영상으로 변환 기능을 선택합니다. 배경, 캐릭터, 갈등에 대한 주요 설명을 입력한 후, 동영상 길이, 동영상 언어 및 스타일을 설정하여 AI 스크립트를 만듭니다.
2단계 장면 및 캐릭터 세부 설정
필모라 AI가 사용자가 입력한 내용을 분석하여 자동으로 장면을 나누고, 캐릭터를 구분한 스토리 보드를 만들어 줍니다. 유저는 각 장면별로 핵심 플롯, 영상, 자막 및 사운드 효과를 설정할 수 있고, 동영상 변환을 할 이미지를 업로드하거나 또는 AI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설정에서 동영상 보정 효과 적용 여부 및 보이스 오버 목소리, 화면 비율을 지정합니다. 모든 작업이 끝나면 생성 버튼을 클릭합니다..
3단계 동영상 편집
생성이 완료된 영상은 자동으로 프로젝트 편집창에서 열립니다. 여기서는 필모라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비디오/오디오 이펙트 효과 및 라이브러리를 활용해 영상을 더 멋지게 꾸밀 수 있습니다. 모든 효과는 마우스 클릭 및 드래그앤드롭으로 타임라인에 바로 적용할 수 있습니다.
조금 복잡해 보이지만 여러 번 반복하다 보면 조금씩 더 창의적인 영상을 만들고, 영감을 얻을 수 있을 겁니다. 필모라의 AI는 마치 크리에이터의 마법 지팡이처럼 모든 작업을 더 쉽고, 빠르고, 창의적으로 만들어 줍니다.
결론
오늘은 영화, 드라마, 팟캐스트부터 블로그까지 모든 콘텐츠 작성의 뼈대가 되는 스크립트가 뭔지, 그리고 스크립트 작성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서비스나 프로그램은 뭐가 있는지 알아 보았습니다. 또 원더쉐어 필모라를 이용해 직접 대본 쓰는 법부터 영상 생성 및 편집까지 하는 방법도 소개해 드렸습니다.
이번 글을 읽고 여러분도 직접 멋진 콘텐츠를 만들어 보시길 바랍니다!
-
FAQ. 자주 묻는 질문과 답변
마지막으로 검색 엔진에서 ‘자주 묻는 질문’을 중심으로 궁금증을 풀어 보겠습니다. -
질문 1. AI 생성 콘텐츠나 도구는 저작권이 누구한테 있나요?
예를 들어 챗GPT나 제미나이, 미드저니 등을 이용해 일러스트레이션을 만들었다면 저작권은 명령어/키워드를 만든 창작자에게 있습니다. 다만 수익 사업에 활용할 경우, 일부는 AI 엔진 서비스와 공유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질문 2. AI로 만든 스크립트를 공모전에 쓸 수 있나요?
요즘은 AI로 만든 콘텐츠가 워낙 많기 때문에 일부 공모전에서는 처음부터 AI 창작 작품 제출을 금지하기도 합니다. 반면 또 순수한 AI 창작 콘텐츠 공모전도 있기 때문에 이런 곳을 알아 보는 것도 좋습니다. -
질문 3. 영상 스크립트에서 제일 중요한 건 뭔가요?
앞서 소개해 드렸듯 스크립트는 장르별로 조금씩 특징이 있는데, 영상에서 무엇보다 중요하게 생각해야 하는 건 바로 장면 - 씬 구성입니다. 영상은 장면이 계속 변하면서 구성되기 때문에 각 장면별 스크립트를 명확하게 구분해서 써야 합니다.